2014, 이선영

고양창작스튜디오 작가와의 대화 2014-04 中


 작가가 ‘플라나리아 패턴’이라 이름 붙인, 종이에 마블링해서 생겨난 형상을 활용했던 박은하의 작품들은 굳어져 있는 평범한 일상 속에서 유출 또는 분출된 어떤 힘을 가시화함으로서 주목받았다. 은평 뉴타운 지역의 어지러운 재개발지 풍경이나 사람 얼굴이 오래된 밧줄 뭉치로 변해있는 괴기스러운 초상, 쩍 갈라진 대지가 깊이 상처 난 살 같은 느낌을 주는 요즘의 그림은 ‘박은하 표’로 이미 잘 알려진 그 패턴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원초적인 느낌을 준다. 열심히 그림만 그리던 작가가 유럽의 유명한 미술관 컬렉션을 섭렵하고 다녔던 짧지만 강렬했던 체험이 스스로 ‘동어 반복적’으로 느껴졌던 이전 회화와 단절하게 한 듯하지만, 인물이나 풍경 같은 평범한 광경에서 요동치는 사건을 길어내는 방식은 여전하다. [망가진 바다], [망가진 꽃밭] 등으로 붙여진 작품 제목은 변형에 내재된 파괴적 충동을 드러낸다. 그것들은 실제로 망가지기도 했겠지만, 작가의 시선에 의해 더욱 극적인 장면으로 변모한다.

 그것은 분단이나 재개발 같은 그자체로 민감하고 착잡한 소재를 치장, 또는 과장하는 문제는 아니다. 가령 박은하는 대학과제물 때문에 딱 한번 자화상을 그린 이후, 자화상을 그려 본 적이 없다고 하는데, 그것은 자화상에 넘쳐나는 나르시시즘이나 그 과도한 존재감에 대한 거부감에서였다. 작가에게 중요한 것은 진실인 것이다. 진실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 주변을 이루는 많은 것들이 허상처럼 다가오고, 그것이 허상인 한 유동적인 변화의 과정 중에 있다. 그것을 바라보는 주체 역시 과정 중에 있다. 주체와 대상은 서로와의 관계 속에서 진동하고 공명한다. 그것이 바로 감각이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철학이란 무엇인가]에서 끊임없이 카오스와 대결하는 사유를 말하며, 여기에서 ‘감각을 진동시키다-감각을 결합시키다-감각을 트이게 하거나 쪼개거나 비어내는’ 과정을 강조한다. 그것이 이전의 감각을 지속하면서도 갱신해 나가는 박은하의 새로운 예술적 개념이다.

 / 이선영 (미술평론가)